티스토리 뷰
목차
사회초년생으로서 "1억"이라는 금액은 마치 산 정상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멀고, 높아 보이고, 과연 내가 저곳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 싶은 막막함. 하지만 저도 결국 1억이라는 숫자를 달성했고, 지금은 그 돈이 또 다른 자산으로 저를 돕고 있습니다. 저의 이야기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씁니다.
사회 초년생 1억 모으기
대학교를 졸업하고 첫 회사에 들어갔을 때, 월급통장에 찍힌 첫 급여는 정말 기뻤습니다.
"이 돈으로 뭘 해야 할까?"
맛있는 음식을 사 먹고, 친구들에게 한턱 쏘며, 부모님께도 용돈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그런 즐거움도 잠시, 한 달이 지나니 통장에는 별다른 돈이 남지 않았습니다.
‘이래서 내가 부자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습니다. 막연히 돈을 모으겠다는 목표는 있었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없었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1억 모으기 프로젝트
첫 직장에서 1년 정도 일을 하고, 그동안 저축한 돈을 확인했을 때 깜짝 놀랐습니다.
"고작 몇 백만 원?"
제대로 모으지 못한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 보니, 저축보다는 그때그때의 소비가 우선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다음 달에 더 모으면 되지" 하는 생각으로 지출을 반복하다 보니 저축은 늘 뒷전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어느 날, 회사 선배가 한 마디를 했습니다.
"너 지금이 돈 모으기 가장 좋은 때야. 부모님이 생활비를 대주는 것도 아니고, 네가 전적으로 네 돈을 관리할 수 있잖아. 시간 낭비하지 마."
그 말이 큰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시작하자.’
목표 세우기
처음에는 너무 큰 금액을 목표로 삼으면 지칠 것 같아서, "1년 동안 1,000만 원을 모으자"라는 작은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를 위해 제가 한 일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지출 통제
가장 먼저 한 일은 소비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 매일 커피를 사 마시던 습관은 회사 제공 커피로 대체.
- 불필요한 구독 서비스 정리.
- 친구들과의 잦은 외식 대신 집에서 직접 요리.
이렇게 하니 한 달에 20만 원 정도가 절약되었습니다.
2. 고정 저축 설정
월급을 받자마자 50%는 저축 계좌로 자동이체되도록 설정했습니다. 강제로 저축을 하니 남은 돈으로 생활하는 데 적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3. 투자 공부
저축만으로는 부족할 것 같아 안전한 투자 방법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초보자에게 적합한 적립식 펀드와 국채 투자를 선택했습니다. 이 방법은 저에게 큰 변동성 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중간에 찾아온 유혹과 위기
1년이 지나 목표를 거의 달성했을 무렵, 예상치 못한 소비 유혹과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친구들은 해외여행을 가자고 했고, 회사 동료들은 최신 스마트폰을 추천했습니다.
"지금 아니면 언제 해 보겠어?"
저도 순간 흔들렸지만, 다행히도 다시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저는 저축을 방해하는 소비 유혹에 맞서기 위해 가치 소비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 즉각적인 만족감 대신 장기적인 만족감을 줄 소비를 선택.
- 가끔은 자신에게 보상을 주되, 그 보상이 목표를 망치지 않을 정도로 제한.
또한, 예상치 못한 병원비로 인해 모아둔 돈 일부를 사용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이때의 경험은 비상금을 따로 마련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습니다. 이후, 저축과는 별도로 매달 10만 원씩 비상금 계좌에 따로 넣기 시작했습니다.
1억을 달성한 순간: 성취감과 배운 점
5년이라는 시간 동안 꾸준히 실천해왔던 결과, 드디어 통장 잔고가 1억 원을 넘는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눈으로 숫자를 확인하는 순간 벅찬 기쁨이 밀려왔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돈을 모으는 습관과 마인드셋을 배웠다는 점이었습니다. 이 1억은 단순히 돈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저를 성장시키는 자산으로 기능할 것임을 알았습니다.
현재: 1억을 굴리며 삶을 풍요롭게
이제 1억을 단순히 통장에 두지 않고, 꾸준히 불릴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 안정적인 채권 투자를 통해 매년 약 4~5%의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 일부는 배당주에 투자해 추가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이 돈이 저의 생활비와 작은 여행 경비를 충당해 주니, 월급에 의존하는 비율이 줄고 삶의 질이 훨씬 좋아졌습니다.
요약: 사회초년생이 1억을 모으는 방법
- 작은 목표부터 시작: 1,000만 원, 5,000만 원 등 구체적인 중간 목표를 설정.
- 소비 통제: 지출 분석 후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가치 있는 소비에 집중.
- 저축 자동화: 월급을 받자마자 일정 금액은 저축 계좌로 이체.
- 안정적인 투자: 초보자에게 적합한 적립식 펀드, 채권 등으로 안정적인 수익 확보.
- 비상금 마련: 예기치 못한 지출에 대비한 별도의 비상금 계좌 운영.
- 꾸준함과 유혹 이겨내기: 목표를 잃지 않고 긴 시간 동안 실천.
결론적으로, 사회초년생이 1억을 모으는 일은 꿈이 아니라 계획과 실천으로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인 목표입니다.